교육과정소개

물류·유통관리사

로케이션
» Home > 교육과정소개 > 물류·유통관리사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전문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없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2. 자격정보

(1) 물류관리사
① 물류관리사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물류관리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국가물류비 절감을 위해 물류시설 확충과 함께 이를 합리적으로 운영· 관리할 물류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물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이다.

(2) 주요 업무
① 물류관리사는 물류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원자재의 조달에서부터 물품의 생산, 보관, 포장, 가공, 유통에 이르기까지 물류가 이동되는 전체영역을 관리한다.
② 물류관리사는 물류시스템 기획, 물류정보시스템 개발, 물류기술 개발, 물류센터 운영, 수배송 관리업무, 물류창고 및 자재·재고관리 업무, 물류컨설팅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3) 물류관련 자격증

구분 자격분류 내용

유통관리사

국가자격

유통관리사 시험은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소비자 동향 파악 등 판매 현장에서 활약할 전문가의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자격 시험이다.

보세사

국가자격

보세사는 보세화물 및 내국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때, 보세구역에 장치된 물품을 관리 또는 취급할 때 입회 및 확인을 한다.

CPIM

국제자격

CPIM이란 1973년, 미국 생산재고관리협회(APICS)에서 생산재고관리 종사자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자격을 말한다. CPIM이 되려면 미국 APICS에서 출제하고 한국 KPICS에서 주관하는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3. 시험정보

(1) 응시자격
①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연령, 학력, 경력, 성별, 지역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② 단, 부정행위로 인해 시험 무효처분을 받은 자는 3년간 물류관리사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2)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교시 시험과목 세부사항 문항수 시험방법

1

물류관리론 

물류관리론내의 「화물운송론」, 「보관하역론」  및  「국제물류론」은 제외

과목 당
40문항
(총 120문항)

객관식
5지선택형

화물운송론

-

국제물류론

-

2

보관하역론

-

과목 당
40문항
(총 80문항)

물류관련법규

「물류정책기본법」,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항만운송사업법」, 「유통산업발전법」, 「철도사업법」,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중 물류 관련 규정

※ 물류관련법규는 시험시행일 현재 시행중인 법령을 기준으로 출제(단 공포만 되고 시행되지 않은 법령은 제외)하므로 법률개정여부에 주의를 요한다.

(3) 합격 기준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를 합격자로 결정한다.

(4) 시험과목 일부면제
물류관리론(화물운송론 · 보관하역론 및 국제물류론은 제외) · 화물운송론 · 보관하역론 및 국제물류론에 관한 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원에서 해당 과목을 모두 이수(학점을 취득한 경우에 한한다)하고,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를 받은 자는 시험과목 중 물류관련법규를 제외한 과목의 시험을 면제한다.

(5) 합격통계

구분 응시 합격 합격률(%)

2021

6,401

3,284

51.3%

2020

5,879

2,382

40.52%

2019

5,495

1,474

26.82%

2018

4,928

1,994

40.5%

2017

4,870

1,657

34.0%

4. 활용정보

물류관리사는 물류관련 정부투자기관이나 공사, 운송·유통·보관 전문회사,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의 물류관련 부서(물류, 구매, 자재, 수송 등), 물류연구기관에 취업이 가능하다. 물류는 대부분의 주요 기업 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기업, 중소기업 및 공기업 모두 물류관리자를 요구하고 있다. 규모가 큰 자동차 회사에서부터 소규모의 지퍼회사에 이르기까지, 자재를 구매하고 상품을 파는 모든 회사들은 상품과 정보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 물류전문가가 필요하다.

5. 자격증 관계도

보세사 : 물류관리사는 보세화물의 관리를 그 업무로 하는 보세사와 업무범위가 유사하나 물품의 생산, 보관, 가공, 유통에 이르는 전체영역을 관리한다는 점에서 업무범위가 훨씬 포괄적이다.
유통관리사 : 물류관리사는 유통관리사와 업무영역이 가장 유사하나 전문성이 더 강하고 따라서 시험의 난이도도 더 높다. 업무영역이 유사하므로 두 자격증을 중복해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 지식백과] 물류관리사 (자격증 사전, SS 직업문제연구소 편집부)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전문자격증
(2) 시행기관 : 대한상공회의소
(3) 응시자격 : 제한 없음
(4) 홈페이지 : license.korcham.net

2. 자격정보

(1) 유통관리사
① 유통관리사란 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하는 유통관리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유통관리사 제도는 유통업체의 전문화, 대형화와 국내 유통시장 개방으로 판매 및 유통전문가의 양성을 위해 만들어진 자격제도이다.
③ 2004년 유통산업발전법이 개정되면서 기존의 ‘판매관리사’ 자격 명칭이 ‘유통관리사’로 변경되었다.

(2) 자격특징
① 유통관리사 시험은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소비자 동향 파악 등 판매 현장에서 활약할 전문가의 능력을 평가한다.
② 유통관리사는 유통 경영 및 관리기법의 향상, 유통경영 및 관리와 관련한 계획 · 조사 · 연구, 진단 · 평가, 상담 · 자문 그밖에 유통경영 및 관리에 필요한 각종 업무를 수행한다.
③ 유통관리사 등급 기준은 1급, 2급, 3급 3단계로 구분된다. 2 · 3급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응시제한이 없으나 1급의 경우 응시하기 위해서는 자격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3) 자격 검정기준
① 1급 : 유통업 경영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터득하고 경영계획의 입안과 종합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 및 중소유통업의 경영지도능력을 갖춘 자
② 2급 : 유통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터득하고 관리업무 및 중소유통업 경영지도의 보조 업무 능력을 갖춘 자
③ 3급 : 유통실무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터득하고 판매 업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

(4) 유통 · 마케팅 분야의 자격제도

구분 자격분류 내용

경영지도사
(마케팅분야)

국가전문자격
/ 산업인력공단

경영지도사는 중소기업의 생산 · 유통관리, 판매관리 및 수출입업무 등에 대한 진단 및 지도를 담당한다. 또한 진단 · 지도 내용과 관련해 자문, 상담, 조사, 분석, 평가, 확인, 대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유통관리사

국가전문자격
/ 대한상공회의소

유통관리사 시험은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소비자 동향 파악 등 판매 현장에서 활약할 전문가의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자격 시험이다.

전자상거래관리사

국가기술자격
/ 대한상공회의소

전자상거래관리사 시험은 전자상거래 분야의 최고의 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해 인터넷 비즈니스와 관련된 경영, 기술, 마케팅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이다.

전자상거래운용사

국가기술자격
/ 대한상공회의소

전자상거래운용사 시험은 전자상거래관리사의 업무를 보조할 수 있는 자로서 관련 분야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기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이다.

3. 시험정보

(1) 응시자격
2급, 3급의 경우 자격 제한이 없다. 1급의 경우에는 다음에 해당하는 자만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① 유통분야에서 만 7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② 유통관리사 2급 자격을 취득한 후 만 5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
③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4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경영지도사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실무경력이 만 3년 이상인 자.

(2) 시험과목

등급 시험과목 출제형태

1급
(5과목)

• 유통경영
• 물류경영
• 상권분석
• 유통마케팅
• 유통정보

객관식 100문항
(5지선다형)

2급
(4과목)

• 유통물류일반관리
• 상권분석
• 유통마케팅
• 유통정보

객관식 90문항
(5지선다형)

3급
(2과목)

• 유통상식
• 판매 및 고객관리

객관식 45문항
(5지선다형)

(3) 합격 기준매과목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를 합격자로 한다.

(4) 가점혜택

등급 내용

1급

유통산업분야의 법인에서 10년 이상 근무하거나 2급 자격을 취득하고 도 · 소매업을 영위하는 법인에서 5년 이상 근무한 자에 대해 5점을 가산한다.

2급

유통산업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자로서 지식경제부가 지정한 연수기관에서 40시간이상 수료 후 2년 이내 2급 시험에 응시한자에 대해 10점을 가산한다.

3급

유통산업분야에서 2년 이상 근무한 자로서 지식경제부가 지정한 연수기관에서 30시간이상 수료 후 2년 이내 3급 시험에 응시한자에 대해 10점을 가산한다.

※ 과락은 가점해당사항이 없다.

(5) 합격통계
① 1급

구분 접수 응시 합격 합격률(%)

2021

416

330

78

23.6%

2020

332

260

28

10.8%

2019

367

304

94

27.6%

2018

255

200

42

21%

2017

269

218

48

22%

  ② 2급

구분 접수 응시 합격 합격률(%)

2021

22,837

15,888

6,563

41.3%

2020

19,592

14,780

5,620

38%

2019

22,744

16,047

6,477

40.4%

2018

18,734

13,031

6,706

51.5%

2017

17,950

12,384

4,814

38.9%

  ③ 3급

구분 접수 응시 합격 합격률(%)

2021

6,949

5,709

3,650

63.9%

2020

4,862

4,052

2,370

67.4%

2019

5,391

4,342

2,400

55.3%

2018

5,275

4,172

3,134

75.1%

2017

5,859

4,719

3,337

70.7%

4. 활용정보

유통관리사는 종합유통단지, 백화점, 대형할인매장, 각 업체 직영판매장, 물류기지, 각종 도매시장, 공판장, 소매점, 농 · 수 · 축협의 유통관련 부서 등에서 유통관리 분야의 책임자로 근무할 수 있다. 백화점 및 유통업체에서는 유통관리사 자격자를 우대하고 있는 곳이 많다.

5. 자격증 관계도

경영지도사 : 1급 유통관리사는 중소유통업의 경영지도를 담당한다는 점에서 중소기업의 경영문제에 대한 진단과 지도를 행하는 경영지도사와 업무범위가 중첩된다. 경영지도사로서 실무경력이 만 3년 이상인 자는 1급 유통관리사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물류관리사 : 물류관리사는 유통관리사와 업무영역이 가장 유사하나 전문성이 더 강하고 따라서 시험의 난이도도 더 높다. 업무영역이 유사하므로 두 자격증을 중복해 취득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통관리사 (자격증 사전, SS 직업문제연구소 편집부)

입학상담
T.053-424-0077


TOP